하늘높이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알파고 이후의 딥러닝의 시대가 되었다.
부모들에게도 약간 쇼킹한 사건이었는지 아이들에게 소위 말하는 코딩교육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어떤 전단지를 보면 자바가 써 있기도 하고 어디에는 C언어가 써 있다더라. 헉
개발을 잘 모르는 사람은 코딩이 인기라더라며 웹 코딩/퍼블리셔 직군에게 이게 코딩 아니냐며 코딩 교육을 할생각이 없냐는 이야기도 한다.

물론 Java, C, HTML 좋다. 그들의 원리를 조금 배워보는것 역시 좋다. 하지만 그들의 철학과 원리를 이해하기는 15년이 된 개발자도 어렵다.
(나만 그런가?)

그리하여 나의 생각은 아이들이 배울 것은 그것이 아닌데...
아이들이 당장 자바나 HTML 코딩을 배우면 뭐하겠는가... 나 역시 초3에 컴퓨터가 생기고 4학년때부터 뜯기 시작하고 6학년때 GW베이직을 처음 익히고 이 바닥으로 들어왔지만 사실 중요한것은 그것이 아니었다.

개발자가 된 것을 후회하는 것은 아니지만 컴퓨터에 빠져서 다른 기초학문이나 사상을 혹은 수학을 더더더더더 많이 익히지 못했던것을 후회한다.

또한 개발의 언어 외에도 업무의 언어를 더 많이 있히지 못함이 미안하다.

소위 딥러닝의 시대가 되면 더 그럴지 않을까.

현재도 3.5세대나 4세대 IDE툴 즉 개발환경을 제공해주는 툴 들, 예를들면 비주얼스튜디오나 이클립스등의 툴은 나름의 인텔리전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코드 몇자를 치면 이 코드 쓰려는 거구나. 다 입력해줄테니 여기서 바꿔봐... 그리고 조금더 쉽게 쓸수 일는 프레임워크나 언어는 계속 나온다.

딥러닝 시대가 되면...이것이 더 발전할텐데...
ide가 (이제는 문법이 아니고) 너가 이 알고리즘을 쓰려는 거구나... 이렇게 짜보는 것이 어때?
너가 짠 코드는 이런 부분이 비 효율적이야. 내가 바꿔도 될까?

현재의 DB처럼 넌 맘데로 니멋대로 짜
코스트 기반의 옵티마이저가 분석해서 똑같은 결과 코드로 대체 할 것이다. 너가 짜려고 하는 코드는 스택오버플로우에 이미 있는거란다. 이것대로 해볼렴!! [사실 지금도 컴파일러가 비슷하게 하고 있지만... ]

정말 아쉽지만 결국 코드를 잘 짜는 개발자와 못 짜는 개발자의 차이가 적어진다. 즉 경력자와 초보자의 코드가 별 차이가 없어진다. 정말 잘짜고 효율적인 그리고 수학적인 개발자는 엔진 개발자, 코어 개발자등 한정 분야에만 존재 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능력을 늘려야 하고 아이들에게는 무엇을 알려줘야 할까?

개발의 언어인가 사고의 능력인가.





Software-development

과거 하드웨어 반도체의 축이던 인텔
그리고 2년 아니 18개월 마다 반도체의 집적도는 전에 비해 2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의 세 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출처: 위키피디아

  1. 반도체 메모리칩의 성능 즉, 메모리의 용량이나 CPU의 속도가 18개월에서 24개월마다 2배씩 향상된다는 '기술 개발 속도에 관한 법칙'이다.
  2. 컴퓨팅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향상된다.
  3. 컴퓨팅 가격은 18개월마다 반으로 떨어진다.


어느덧 무어의 법칙은 하드웨어 세상에만 존재하는 법칙이 아닌 비트의 세상, 즉 소프트웨어 세상에도 존재하는듯 하다.

소프트웨어의 세상 역시 제곱, 즉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오픈소스, 개념, 철학
AI, 딥러닝, 클라우드,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업체들마다 다들 새로운 계획과 구성을 필요로 한다.

어느 정도 완성되어 마지막 부분만 학습하여도 구현 되는 부분이 있긴하나 제대로 알고 발전시키며 남들에 비해 우위에 있으려면 기초 학습인 수학이나 통계 역시 알아야 좋다.(어느 정도 능력도 요함) 게다가 사상의 패러다임의 변화까지 변화를 주어 신 개념 혹은 철학까지 필요로 한다.

나 혼자 아무리 똑똑하려 해봐야 양적으로 할 수 없는 시기가 도래 하였다.
(모두 이해하려면 아이언맨이나 베트맨 정도 되어야지 나같은 일반인은 잘 모르겠다.)

사람들과 더 함께 일하고 그들은 발전 시키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렇게 하면 변화의 양을 감당할 수 있을까?



News

헉! 라이브 저널리즘!!
유튜브와 페이스북, 트위터의 라이브 행보.

회사에서 뉴스 개발 업무를 한지 1년 반이 조금 지났다.
다음은 뭐가 나오려나? 뉴스의 끝은 어디인가?

인터넷에 새로운 기술이 나올때마다... 저널리즘도 같이 등장한다.

데이터 저널리즘, 모바일 저널리즘, 드론 저널리즘, VR저널리즘...


최근 구글 세미나에서 버즈피드 고양이 콘텐츠를 예를 들며 뭐가 뉴스인가? 라는 질문이 있었는데...
강연자인 구글 뉴스 책임자 깅그라스 아저씨 왈 누군가(독자)에게 흥미롭거나 중요한 것이 뉴스란다.

누군가에게 흥미롭다면...

사실 모든 콘텐츠는 뉴스인가? 내가 올리는 이것 역시 누군가 흥미 있다면 뉴스인가?
뉴스 업무의 끝은? 어디?

그렇다면 추천을 해준다면 어떤 것의 가중치가 높을까? 흥미로운 것인가? 중요한 것인가? 많이 보는 것인가?

연관성? 중요성? 도달율?
사람이 큐레이션 하지 않는다는 구글과 다음은 저 중 무엇으로 가치 평가를?

퍼블리셔가 추천 하는 콘텐츠와 언론사가 추천 하는 콘텐츠는 같아도 되는 것일까?

처음 추천 서비스를 만들 때는 멋 모르고 쉽게 했으나...
저널리즘의 저자도 모르는 개발자가 개선하려니 고민/고려 사항이 너무나 많다.

그냥 머리 복잡한 어느날...